해외거점 마케팅을 지원합니다. 해외거점 마케팅 소개

이 글은 해외거점마케팅의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위치가 검색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설명합니다. 

(2) 그 외 정보 자료정리중

저희는 웹검색에 대해 깊은 고민을 많이 합니다.

실예로 간단히 얘기하면 “서울에 맛집을 오픈하면 제주도에서도 알것이다”란 생각을 갖고 음식점을 차리는 분은 없습니다.
서울에 음식점을 차린다는 것은 서울사람이 고객이라는 것인데 이게 인터넷에서는 위의 얘기처럼

“서울에 맛집을 오픈하면 제주도에서도 알것이다”라고 생각을 하시는 분이 거의 대다수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인터넷이 정보의 바다라고 하니, 물어물어 즉 검색하다보면 제주도에서 서울정보를 얻으실 수는 있을 것입니다.

How does location affect search results? 

무슨 얘기냐면 번역을 해보겠습니다. 위치가 검색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 까?라는 얘기입니다.

한곳을 링크해 드립니다.

관련내용을 정리해 보면 이렇습니다.

우리가 검색하는 검색결과는 우리가 위치한 지점에서 가까운 곳부터 검색결과를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앞서 말한것과 같이 서울에 있는 고객을 상대하는 영업을 할려면 즉 노출할려면 검색하는 사람의 주변에 있는것이 유리하다는 점을 얘기합니다.

이게 요즘 공공기관에서 “해외거점 마케팅”이란 설명과 비슷한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우리는 인터넷을 하는 사람으로써 가령 베트남에서의 영업 즉 마케팅이 필요하다면 한국에 있는 회사에서 베트남어로 홈페이지에 글을 적는것 보다는 베트남 현지에 있는 홈페이지에 글이 있는게 좀 더 낫다란 점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구글 검색기준, ‘국가’에서 ‘위치’로 변경

전 세계 검색엔진 1위인 구글은 각 국가에 고유의 국가별 도메인을 지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해왔는데요, (한국은 .kr, 일본은 .jp, 영국은 .uk 등) 지난 10월 27일부터 구글 검색기준이 국가별 도메인에 최적화된 검색결과가 아닌 현재위치에 최적화된 검색결과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가령,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용자가 영국도메인(google.co.uk)을 주소창에 입력하여 접속하더라도 대한민국에 기반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게 됩니다. 위치기반 기능을 제공하게 된 이유에 대해 구글측에서는 이용자에게 최상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지 위치와 연관된 콘텐츠이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습니다.

왼쪽 아래를 보시면 해당위치가 어디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에 대해 체감을 경험할 수 있는 이용자는 아마 여행객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국내여행자 뿐만 아니라 해외여행자에게는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곳과 관련된 정보를 얻기가 예전보다 더욱 수월해 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러한 기능이 완전히 위치기반으로 영구 설정된 것만은 아닙니다. 사용자 설정에서 수동으로 위치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원하는 국가 검색기반으로 정보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출처: 구글코리아 페이스북

새로운 검색기능은 사실 구글이 서비스하고 있는 유튜브, 지메일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에 제공된 기능이었는데요, 이러한 기능은 구글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구글 지도, iOS 앱, 데스크탑과 모바일 등 구글검색이 제공되는 기기와 소프트웨어에모두 적용된다고 합니다.